본문 바로가기
능력발전/한국사정리

세계문화유산 정리 (총 14개)

by 은하수거닐다 2020. 2. 1.
반응형

< 유네스코에 등재된 한국 세계문화유산 14개 정리 >

 

1) 창덕궁

창덕궁 인정전 출처 : 한국 유네스코

 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조선 궁궐. 유네스코 등재 연도는 1997년.

한국사 문제에서는 오답으로 경복궁이 출제되기도 한다. 그러나 답은 창덕궁이다.

 

 

2) 종묘

종묘  출처 : 한국유네스코

 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봉안한 사당. 등재연도 1995년.

 

 

3) 조선왕릉

조선왕릉  출처 : 한국유네스코

 1408년부터 1966년까지 만들어진 조선의 왕릉. 18개 지역, 총 40기에 달한다. 등재연도 2009년.

 

 

4) 남한산성

남한산성  출처 : 한국유네스코

 서울 한강의 남쪽지역에 축조된 방어체제로 사용되었다. 등재연도 2014년.

 

 

5) 수원 화성

수원 화성 팔달문  출처 : 한국유네스코

 정조가 자신의 아버지인 장헌세자의 묘를 안치한 곳. 등재연도 1997년

 

 

6) 석굴암과 불국사

불국사  출처 : 한국유세스코

 김대성이 경덕왕 대 짓기 시작해서 혜공왕 때 완공했다. 등재연도 1995년.

 

 

7) 경주역사유적지구

경주 남산  출처 : 한국유네스코

 경주역사유적지구는 남산지구, 월성지구, 대릉원지구, 황룡사지구, 산성지구 총 5개 유적지구로 이루어져 있다. 등재연도 2000년

 

 

8) 하회마을과 양동마을

안동 하회마을  출처 : 안동하회마을보존회
경주 양동마을  출처 : 경북경주양동마을 홈페이지

 등재연도 2010년. 안동 하회마을은 낙동강이 큰 S자 형태로 마을 주변을 휘돌아간다고 하회마을이라고 한다고 한다. 경주 양동마을은 남자가 결혼 후 처가에서 살게 되어 그 가문이 이루어진 곳으로 외손마을이라고 불리기도 한다고 한다.

안동 하회마을은 풍산 류씨, 경주 양동마을은 경주 손씨와 여강 이씨가 살았던 마을이라고 한다.

 

 

9) 해인사 장경판전

해인사 장경판전  출처 : 한국유네스코

 팔만대장경을 보관하기 위해 지은 건축물이다. 등재연도 1995년.

 

10) 고창, 화순, 강화의 고인돌

고인돌  출처 : 한국유네스코

 전라북도 고창, 전라남도 화순, 강화도에 위치한 고인돌 유적. 등재연도 2000년.

 

 

11) 백제역사유적지구

왕궁리5층석탑  출처 : 한국유네스코

 충청남도 공주, 부여, 전라북도 익산의 3개 지역의 8개 고고학 유적지이다. 등재연도 2015년.

 

 

12)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

한라산  출처 : 한국유네스코

 제주도의 거문오름용암동굴계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동굴계로 손꼽힌다. 등재연도 2007년.

 

 

13) 산사, 한국의 산지 승원 (산사 7개)

봉정사 만세루  출처 : 한국유네스코

 산사 7개의 사찰이다. 통도사, 부석사, 봉정사, 법주사, 마곡사, 선암사, 대흥사이다. 등재연도 2018년.

 

 

14) 한국의 서원 (서원 9개)

도산서원  출처 : 한국유네스코

 조선의 성리학 교육 시설 중 하나인 서원이다. 그 중 9개의 서원이 유네스코에 등재되었다. 영주의 소수서원, 함양의 남계서원, 경주의 옥산서원, 안동의 도산서원, 전남 장성의 필암서원, 대구의 도동서원, 안동의 병산서원, 정읍의 무성서원, 논산의 돈암서원이다. 등재연도 2019년으로 가장 최근 등록되었다.

반응형

'능력발전 > 한국사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통일을 위한 노력  (0) 2020.02.07
조선학운동  (0) 2020.02.07
[독립운동가 정리] 이회영  (0) 2020.02.07
신석기, 청동기 유적지 정리  (0) 2020.02.01
구석기 유적지 정리  (0) 2020.02.01

댓글